카테고리 없음

SLES로 VirtualBox NAT만이 아닌, NAT Network 구성하기

로만로만 2023. 6. 12. 00:01
반응형

 전 글을 실습하기 전에, 네트워크 접속 설정부터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VirtualBox에서 여러대의 vm들을 통신하기 위해서는 크게 브릿지랑 NAT Network 방식이 있다.
단순한 것은 브릿지 방식이지만,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는 방식이다.

실제 사용할 수 있는 ip를 vm에 할당한다는 것은 문서화를 하기에도 큰 의미가 없고, ip 충돌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신의 물리 컴퓨터에 할당 된 ip를 vm들의 게이트웨이화 시킬 수 있는 방식이 NAT Network이다.

 

 버츄얼박스는 네트워크 타입이 여러 개 존재한다. 그 중애는 NAT와 NAT Network 방식이 존재한다. 둘다 NAT 기반으로 IP를 부여하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일반 NAT만으로 설정 했을 시, 다른 VM들과 통신을 할 수 없다.  그러나 NAT Network로 설정 했을 시, 다른 vm들과 통신이 가능하다. 

 

 2개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하나는 Host-only Network이고, 다른 네트워크는 NAT만이다. 즉, 실질적으로 설정할 네트워크는 Host-only 만이다. 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이유는, vm들과 통신을 하기 위해서이다. 이 네트워크의 특징은,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이 불가능하다. 즉, 1대의 vm에서 망분리가 이루어진다. 1개의 망은 vm들과 통신하는 망, 다른 네트워크는 인터넷에 접속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버츄얼 박스 좌측 최상단에 있는 파일 -> 도구 -> Network Manager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는 버튼들이 존재한다.

여기서 초록색 + 버튼을 클릭하면,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설정은 어뎁터와 DHCP 서버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나타난다. #3은 어떻게 설정이 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

수동으로 어댑터를 설정하는 곳이다. 여기서 어댑터란, 버츄얼박스를 실행하는 컴퓨터와 ping을 주고 받을 수 있는 ip를 말한다. 반면, 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vm들은 ping을 할 수 없다. 한번 확인해보자

물리 컴퓨터
vm

ping은 window에서는 가능하지만, vm에서 되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제 dhcp 설정을 확인해보자.

 

서버 주소는 dhcp 서버의 ip를 의미한다. 남은 부분은 dhcp 서버가 무엇인지 안다고 가정하고 넘어가겠다.

 

vm들의 설정을 확인해보자 한다.

어댑터 1 어댑터 2

어댑터 1은 사전에 설정한 dhcp 네트워크로 잡아주고, 어댑터 2는 nat 네트워크로 잡아준다.

주의 사항은, vm을 부팅 후 nat 네트워크를 잡아줘야 하는데, 이 설정은 yast에서 잡아야 한다.

yast => network settings => eth2에 접속

Dynamic Address로 선택을 해야, nat ip를 받아올 수 있다. dhcp 네트워크는 자동으로 설정이 된다.

그럼 최종적으로 ip -4 -o a를 입력 했을 때, 다음과 같은 설정이 나올 것이다.

이제 이 vm은 40.0.0.x대의 dhcp 네트워크를 통해사 vm과 통신이 가능하고, nat ip인 10.0.3.x 대역을 이용해서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다. 이제 ping test를 해보자.

 

호스트 명: a

vm 네트워크 8.8.8.8

 

호스트 명: b

vm 네트워크 8.8.8.8

 

이제 vm간의 통신도 되면서, 인터넷 연결도 되는 nat network를 구축한 것이다.